🌱 CS Study/파이썬

리스트 (list) 함수

HelloRabbit 2022. 7. 10. 16:04
728x90

파이썬의 리스트는 숫자든 문자든 여러 항목을 순서대로 관리하는데 유용한 자료형이다.

 

리스트는 네모 괄호 안에 항목들을 넣어 생성한다. 숫자, 문자, 다른 자료형 등을 넣을 수 있으며 섞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.

# 리스트는 네모 괄호로 형성한다
colors = ['red', 'orange', 'yellow', 'green']

 

리스트에는 여러가지 내제된 함수가 있다.

# 리스트 끝에 추가하기 (1개만 가능)
colors.append('blue')				# ['red', 'orange', 'yellow', 'green', 'blue']

# 리스트 끝에 추가하기 (1개 이상 가능)
colors.extend(['blue', 'purple'])		# ['red', 'orange', 'yellow', 'green', 'blue', 'purple']

# 리스트 전체 지우기
colors.clear()					# []

# 리스트 다른 변수에 복사하기
colors_copy = colors.copy()

# 리스트에 특정 값이 몇 개 있는지 검색하기
colors.count('red')				# 1

# 리스트에 특정 값이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확인하기
colors.index('red')				# 0 -->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

# 리스트 지정한 인덱스에 특정 값을 추가하기
colors.insert(3, 'light green')			# ['red', 'orange', 'yellow', 'light green', 'green']

# 리스트 지정한 인덱스에 있는 값을 제거하기
colors.pop(1)					# ['red', 'yellow', 'green']

# 인덱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로 리스트 끝에 있는 값을 제거
colors.pop()					# ['red', 'orange', 'yellow']

#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제거하기. 만약 중복되는 값이 있다면 인덱스가 가장 낮은 값을 제거
colors.remove('yellow')				# ['red', 'orange', 'green']

# 리스트 순서를 뒤집기
colors.reverse()				# ['green', 'yellow', 'orange', 'red']

# 리스트 정렬하기
colors.sort()					# ['green', 'orange', 'red', 'yellow'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