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-frame translation1 [ROSALIND] Open reading frame (6-frame 번역하기) 문제 설명 DNA에서 상보적인 mRNA 서열을 만들고, mRNA가 단백질로 번역딘다. mRNA 서열이 단백질로 번역될 때 항상 mRNA의 전체 서열을 사용하는 것이다. mRNA 서열 중 start codon (AUG)가 있는 모든 곳에서 번역이 가능하고 모든 end codon (UAG, UAA, UGA)에서 번역이 종료된다. 그러므로 mRNA에서 번역이 시작될 수 있는 시점은 첫번째, 두번째, 세번째 염기서열이 있다. 이것을 three frame translation이라 부른다. 하지만 DNA에는 상보적인 반대 서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서열까지 고려한다면 단백질 번역의 시작이 가능한 곳은 총6곳이다. 이렇게 번역이 가능한 구간을 open reading frame (ORF)이라 부른다. 이번 문제에서는 .. 2023. 5. 30. 이전 1 다음